광고
광고
반응형
기본적으로 우리는 변수를 만들고 a = 10 이런식으로 a라는 변수에 10이라는 숫자를 넣어서 저장을 하고는 하는데 이걸 할당 한다 라고 표현합니다. 그리고 그 연산을 하는 것에는 그 값을 그대로 넣는 것도 있지만 연산을 처리 하여 들어가는 것도 있습니다.

a = 3, b = 2 라고 가정을 한상태로 예를 들어보곘습니다.
할당 연산자 | 기능 |
= | a = b 가장 기본적인 내용입니다. a는 b를 기억하고 b는 2를 저장하고 있으니 a 값은2가 됩니다. |
+= | a += b 수식으로 풀면 a = a + b 입니다. a 값은 5가 됩니다. |
-= | a -= b 수식으로 풀면 a = a - b 입니다. a 값은 1이 됩니다. |
*= | a *= b 수식으로 풀면 a = a * b 입니다. a 값은 6이 됩니다. |
/= | a /= b 수식으로 풀면 a = a / b 입니다. a 값은 1.5가 됩니다. |
%= | a %= b 수식으로 풀면 a = a % b 입니다. a를 b로 나누어 나머지 값을 a에 넣어 값은 1이 됩니다. |
//= | a //= b 수식으로 풀면 a = a // b 입니다. a를 b로 나누어 몫값을 a에 넣어 값은 1이 됩니다. |
**= | a **= b 수식으로 풀면 a = a ** b 입니다. a를 b 만큼 제곱하여 a에 넣어 값은 9가 됩니다. |
변수가 바로 값을 넣는것과 연산을 통해서 가공된 값을 넣는 것을 할당 연산자라 합니다. 위에 표를 보면 이해가 잘되시죠?
%=과 //=을 한번더 설명을 드리자면 이번에는 숫자를 크게 a = 25 b = 7 이라고 하고 계산을 해보겠습니다. 25 를 7로 나누면 3 의 몫과 7*3 = 21 따라서 나머지는 25-21 = 4가 됩니다.
a %= b 를하게 되면 나머지가 들어가서 4가되고
a //= b 를 하게 되면 몫이 들어가 3이 됩니다.
반응형